공무원에게 국외훈련은 전문성과 글로벌 감각을 키울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하지만 일부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정보가 부족해, 유학원을 통하거나 기관 섭외에 실패해 기회를 놓치는 안타까운 사례도 보았습니다.
저 역시 팬데믹 기간 중 국외훈련을 준비하며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여러 시도를 통해 직접 기관을 섭외한 경험이 있습니다. 특히 미국을 대상으로 한 제 경험을 중심으로, 공무원 국외훈련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인 '기관섭외'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드리겠습니다.
1단계: 기관 리스트 만들기 – 정보 수집의 시작
(1) training.go.kr 활용
인사혁신처에서 국외훈련 대상자로 선발되면, training.go.kr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매우 유용하게 제공합니다.
-
우리 기관 및 타 기관의 국외훈련 사례
-
연구주제, 파견국가 및 기관명, 훈련자 연락처
-
훈련 후기도 일부 열람 가능
-
현지 생활 정보까지 포함된 사례 다수
이미 다녀온 선배 공무원이 있다면, 직접 연락해 조언을 얻는 것도 가능합니다. 실제로 저는 몇 분의 선배님께 직접 연락하여 도움을 받은 경험도 있습니다.
(2) 구글 검색을 통한 기관 탐색
training.go.kr에 원하는 기관 정보가 없다면, 구글 검색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
본인의 연구주제를 영어로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키워드 확장
예:urban poverty research institute
,social policy think tank in California
,public governance research center
등 -
다양한 독립 연구기관, 대학 부설 센터, 민간 싱크탱크 등 탐색 가능
(3) 엑셀 정리 추천
기관 탐색 단계에서는 정보를 정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
기관명 / 이메일 / 전화번호 / 웹사이트 / 주요연구분야 / 지역 등
정리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후 메일 발송과 전화 컨택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2단계: 기관에 직접 연락하기 – 메일과 전화
기관 리스트가 정리되면 본격적으로 기관에 연락을 시작해야 합니다.
(1) 이메일 작성 요령
기관 섭외 시, 아래와 같은 내용은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한민국 정부(인사혁신처)로부터 훈련비를 지원받고 이것을 훈련비로 지급하겠다는 점 명시
예: "This training will be fully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Ministry of Personnel Management), and the funds will be paid to your institution as the training fee." -
연구주제 및 훈련 목적 간략히 설명
-
훈련 기간, 활동계획 포함
-
기관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이 없고, 국제적 협력에도 긍정적이라는 점 강조
특히, 해당 기관에 한국 공무원이 파견된 전례가 없는 경우, 훈련비를 기관에 지불할 의향이 있다는 점을 밝히면 회신률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2) 회신이 없을 때 대응 전략
이메일 회신이 없는 경우, 그냥 기다리기보다는 직접 전화를 걸어 추가 요청하는 방식도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
“제가 이메일을 보냈는데 스팸함에 있을 수도 있으니 확인해 주실 수 있나요?”
-
"This is a follow-up call regarding my email about the Korean government-funded training program."
이러한 방식으로 실제로 응답이 없던 기관 중 일부는 회신을 주기도 했습니다.
3단계: 기관 확정 및 후속 절차
연락한 기관 중 회신을 준 곳 중에서 연구주제와 일정이 맞는 곳을 선택합니다. 이후에는 다음 단계를 진행하게 됩니다.
-
LOA (Letter of Acceptance) 혹은 초청장 수령
-
기관과의 협의사항 정리
-
비자 준비 및 훈련계획서 제출 등
마무리 조언
-
정보 탐색은 빠를수록 좋습니다. 선발 이전에도 미리 준비해두면 대응력이 올라갑니다.
-
여러 기관에 동시에 연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단 한 곳만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영어 이메일 작성이 어렵다면 ChatGPT와 같은 AI 도구를 적극 활용하세요.
덧붙이며
이 글은 제가 직접 미국 기관을 섭외하며 겪었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혹시 궁금한 점이 있으시거나, 키워드 작성 팁, 구글링 전략 등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신 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가능한 범위에서 공유드리겠습니다.
공무원 국외훈련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